split() 메서드는 베열에서 문자들을 하나씩 나눌때만 사용하는줄 알았는데
괄호안에 숫자,문자, 기호 등 안에 넣으면 그것들을 제거한다
문자 나누기
let str = "14seveneight";
let result = str.split("seven");
console.log(result); //["14", "eight"]
숫자 나누기
let str = "12345";
let result = str.split("3");
console.log(result); //["12", "45"]
숫자를 여러 번 포함한 경우
let str = "31323";
let result = str.split("3");
console.log(result); //["", "1", "2", ""]
join() 메서드는 ("") 일때는 다 합치고, 괄호안에 숫자,문자,기호 등이 들어갈땐 중간에 삽입을 한다
let arr = ["14", "eight"];
let result1 = arr.join(""); // 빈 문자열로 합침
let result2 = arr.join("7"); // 숫자 7로 합침
let result3 = arr.join("-"); // 하이픈(-)으로 합침
let result4 = arr.join("abc"); // 문자열 "abc"로 합침
console.log(result1); // "14eight"
console.log(result2); // "147eight"
console.log(result3); // "14-eight"
console.log(result4); // "14abceight"
하지만 배열안에 요소가 많아질수록 삽입하는 갯수가 늘어난다
join()메서드는 배열의 모든 요소 사이에 값을 삽입한다. 즉 배열 사이에 '하나씩' 삽입을 한다
배열의 요소가 3개인 경우:
let arr = ["a", "b", "c"];
let result = arr.join("7");
console.log(result); // "a7b7c"
배열의 요소가 5개인 경우:
let arr = ["1", "2", "3", "4", "5"];
let result = arr.join("7");
console.log(result); // "172737475"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듈화 및 코드분리 가이드 (0) | 2025.01.16 |
---|---|
Class (0) | 2025.01.07 |
for (let [w, h] of sizes) (0) | 2024.12.31 |
tostring() 10진법 변환 (0) | 2024.12.27 |
<script></script>는 </body>아래로 (0) | 2024.12.26 |